1. 홈
  2. 뉴스
  3. 오늘의 뉴스

오늘의 뉴스

"미호강 파겠다" 홍수 예방 대책 될까
인쇄인쇄 확대 축소 좋아요좋아요 40  취재기자 : 이지현, 방송일 : 2024-06-03, 조회 : 726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이 글 링크복사
Loading the player..


좋아요


지난해 오송 참사를 겪은 충청북도가 올해는 수해를 막겠다면서 크게 두 가지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미호강 폭을 넓히고 깊게 파서 강물이 넘치지 않게 하겠다는 건데, 

환경단체에서는 아무리 강 바닥을 파도 다시 쌓일 것이라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과연 효과가 있는 건지 이지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충청북도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수해 관련 대책은 한마디로 요약됩니다.

미호강을 깊게 파고 폭을 넓혀 많은 양의 비가 와도 넘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충청북도는 오송과 강내를 잇는 5.5km 거리 미호강 구간에 116억 원을 들여 준설 공사를 하게 해달라고 환경부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토지 보상 문제가 얽힌 제방 건설과 달리, 기존의 하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

◀ SYNC ▶ 정창삼/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학과 교수(MBC재난자문위원)
"물이 흘러갈 때 거치는 부분을 적게 만들어 빨리 흘러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조도계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준설이라든가..."

미호강 하류 강 바깥 1.68km 구간에는 제방도 쌓고 있습니다.

기존 350m보다 1.7배 넓은 610m 강폭으로 물길을 넓히는 공사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흙을 쌓고 다지는 작업이 한창인데요. 

이 작업을 이달 말까지 마칠 예정입니다.

충청북도는 미호강 인근이 취약해 제방과 준설이 모두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 SYNC ▶ 김영환 충북지사(지난달 27일)
"금강으로 흘러드는 부분에서의 많은 침수 위험 같은 것들이 빈발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심각한 또 중요한 그런 취약점으로 생각하고..."

반면 환경단체는 강바닥을 준설하는 건 효과보다 피해가 더 크다고 주장합니다.

강 밑을 파도, 모래와 흙이 다시 쌓여 예산만 낭비하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지난 2018년 감사원의 4대강 사업 보고서에는, 준설 이후 5년 동안 금강 바닥에 쌓인 모래가 준설량 대비 30%에 육박했습니다.

준설 공사 과정에서 생태계가 파괴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합니다.

◀ INT ▶ 이성우/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하천을 준설한다는 얘기는 거기에 물고기도 있고 물고기들의 서식 공간도 있고 다른 수많은 것들이 살고 있는데 거기를 다 쉽게 얘기하면 정리하는 거죠."

안전에는 지나침이 없다는 충청북도와 한 번 파괴되면 되돌릴 수 없다는 환경단체.

답을 가를 판단은 환경부에 달렸습니다.

MBC 뉴스 이지현입니다.
(영상취재 김현준, CG 변경미)
◀ END ▶